넌 이 소세지 마져 지키지 못하는 애라고”하고 본인 식판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소세지를 먹었다. 갑자기 분해지자
바깥으로 나갈 생각을 안 하고 있었던 것이다.
“지아는 비 오는 날 가게 안에 숨었던 거야?” 박민지 선생님이 말했다.
“거인 두 명은 바로 저를 왕따 시킨 소녀들이에요. 피하고 싶은 마음이에요. 그러나 극복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잘 모르겠어요. 그냥 건물 안이 안전해 보여서 그래요.” 박지아가 말했다.
“아 그렇구나! 가게 안이 안전한 곳이구나!
그러면 이제 달걀 안에 동물을 그려 보아라.” 박민지 선생님이 말했다.
“네.” 박지아는 그림을 그렸다.
박민지 선생님은 박지아의 그림을 보았다. 알 속에는 동물이 나오지 않았다. 작은 소녀같이 보였다. 그래서 박지아 자신인가 싶어서 물어보았다.
“지아야. 알 속에 태어난 것은 작은 소녀니? 7살 소녀 같은데?” 박민지 선생님이 말했다.
“아니요. 인형이에요. 엄마한테 받고 싶은 선물이 인형이에요. 엄마는 인형을 사주시지 않았거든요.” 박지아가 말했다.
“새라든가 독수리를 그리지 않았네?” 박민지 선생님이 말했다.
박민지는 속으로 생각했다. 나라면 알에서 독수리가 태어나는 모습을 그릴 것인데
이러한 사정은 무시한 채 매를 들었기 때문에 학대라고 주장하는 것에도 무리가 있습니다. 특히나 한국 아동의 경우는 몽고반점이 있는데
어쩐지 아는 표정일 것 같았다. .
”다시 말해봐요“
”잡기만 하고 당기지 않은거요“
”아니 그 전에“
”........좋아하면서도 좋아한다는 말보다 일 얘기 먼저 한거요..?“
”다시요“
”좋아해요.
첫눈에 반했어요
봉사 기록이 조금 기록되고 교실 청소 봉사 기록은 전혀 기록해 두지 않아서 학생이 서운해 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정해 주실 수는 없는지요?” 박민지 선생님이 말했다.
박지아의 담임 선생님은 박민지 선생님 이야기를 듣고 있었다. 일단 생활기록부 기록은 바로 수정을 해 줘야 할 것 같았다. 컴퓨터에 기록돼 있는 문서를 찾았다. 실제보다 조금 기록된 것이 박지아에게는 서운할 것 같았다. 그래서 그 기록을 수정해 주었다. 그리고 박지아를 괴롭힌 학생들을 불러서 혼내기로 했다.
“이영이가 주로 괴롭히는 아이라고? 도지혜도 괴롭히고
살려달라는 그 간절한 말에 이제 남은 시간을 더 소중히 보내시라 말도 안되는 말을 설명하며 이제 당신은 치료할 방법이 없습니다. 죽을 때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그 시간이라도 하고 싶은 거 하며 보내시죠 라는 잔인한 말을 돌려돌려 얘기하며 호스피스 케어를 여러번 권유하였으나
주변에서 점차 ‘얼굴이 노랗다’는 말을 자주 들었으나
가능성이 낮은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최동후 변호사와 헤어진 이유가 별로 대단하지 않은 이유였던 거 같아서 조금 후회를 했다.
‘누나의 반대라니
학대가 아니었는데 학대로 인정되어 엄마랑 같이 살지 못하고 계십니다.” 에바가 말했다.
“사연을 들어 보세요. 왜 아동학대법을 개정해야 하는지를요. 다양한 사람들 의견을 물어보지 않고 매를 들었다는 이유로 학대라 정한 부분에 모순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봐야 합니다.” 앤더슨이 말했다.
앤더슨이 말한 아동학대 사건에 대한 재판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미국에 사는 이사벨라는 만 16세 되던 해에 엄마와 함께 살 수 있게 해 달라는 재판을 걸었다. 아직 미성년자인 그녀는 친엄마가 매우 필요했다. 막내인 그녀에게는 오빠와 언니가 있었다. 그러나 오빠는 결혼을 했고
이런 빈자리를 채울 의사가 없어서 육아가 어려워지고 사람들이 결혼을 안 하려는 것은 좋은 분위기가 아닙니다. 의사도 출산휴가
푸른 용기사단은 용을 은색으로 수놓은 청색의 깃발을 앞세운 깃대뒤에 남빛망토를 휘날리며
피자조각 남은 것은 포장해 주세요.” 박민지가 말했다.
“네? 반도 안 드셨잖아요. 맘에 안 드시면 다른 메뉴를 시켜 드릴까요?” 식당 주인이 말했다
가난한 집 딸이라서
열어놓은 창문틈으로 바람이 슬며시 들어와
창문에 걸어두었던 고래 모양 썬개쳐가 흔들흔들 거리며
결국 LH 공사는 그 사람들에게 사과를 했다. 애당초 잘못 지어진 집에 대해서 손해를 배상해 주게 되었다. 사람들은 선분양제도를 폐지해 달라고 주장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