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의원은 "이번 원내대표 선거는 크게 보면 친명계와 비명계의 진영 싸움이었다"며 "(결선 없이) 1차에 압도적으로 선거가 끝날 정도로 비명계로 분류되는 박 의원이 원내대표가 된 것은 지도 체제에 아주 커다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해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의원 공천권을 빌미로 금품을 받은 혐의로 지난해 11월 구속기소됐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국민의힘 비리 사건을 상기시키려 한 것으로 보입니다.
면
토토사이트
이상민 민주당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무슨 뜻인지는 대략은 알겠는데. 그러나 그러한 대응을 쉽게 공감하기는 좀 어렵다”며 “질문이 왔으면 그에 대해서 진솔하게 최선을 다해서 답변을 하든지. 아니면 하지 못할 사정이 있으면 그런 사정이 있다고 하든지. 이렇게 하는 게 오히려 정석”이라고 했다.
우선 이 대표가 "김현아는?"이라고 답변한 이후 국민의힘 당무감사위원회가 김현아 전 의원에 대한 당무 조사에 나섰습니다. 당 차원의 진상조사 실시는 총선을 1년 정도 앞두고 당내 비리 의혹을 털어버리고, 민주당과 달리 비리 문제에 단호하게 대응한다는 차별화 이미지를 구축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민주당을 겨냥하는 의미도 있는 거죠.
이 대표가 언급한 또 다른 전직 의원인 박순자 전 의원은 이미 지난해 12월 말 강제 탈당 조치됐다고 합니다. 이미 국민의힘 소속이 아니라는 거죠.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오히려 역공을 펴기도 했는데요, 지난 달 27일 "(김현아 전 의원) 비리 의혹에 대해서 진상 조사를 하도록 당무감사위에 요청할 예정입니다. 박순자 전 의원은 이미 강제탈당 조치가 됐습니다. 이제 다시 묻겠습니다. 이재명은?"이라고 쏘아붙였습니다.
김현아·박순자 전 의원이 '비리'로 공격 대상이 된 것과 달리 태영호 최고위원은 '대통령실 공천 개입 의혹 논란'으로 태 최고위원보다 대통령실이 공격 대상이 됐는데요, 파장이 커지다 보니 김기현 대표가 윤리위 카드를 꺼냈습니다.
점
토토사이트
이 대표는 지난 3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일 이뤄진 두 의원의 탈당 등 돈봉투 의혹 관련 질문이 이어지자 "태영호 의원 녹취 문제는 어떻게 돼 가나. 명백한 범죄행위로 보인다"고 말을 돌렸다. 이 대표는 지난달 24일에도 돈봉투 의혹 관련 질문이 나오자 "김현아 (전) 의원은 어떻게 돼가고 있나? 몰라요?"라고 되묻고, 이튿날에는 또 비슷한 질문에 "박순자 의원 수사는 어떻게 돼가나? 관심이 없으신가"라고 했었다.
그나마
카지노사이트
민주당 이상민 의원은 이에 대해 4일 오전 불교방송(B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무슨 뜻인지는 대략은 알겠는데 그러한 대응을 쉽게 공감하기는 좀 어렵다고 본다"며 "왜 저런 반응을 굳이 보였을까"라고 한탄했다. 이 의원은 "질문이 왔으면 진솔하게 최선을 다해서 답변을 하든지, 아니면 하지 못할 사정이 있으면 있다고 하는 게 정석"이라며 "상대 당 그런 부분, 우리가 얘기 안 해도 국민들이 다 안다"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그것은 별도의 채널에서 비판을 하든지 문제 제기를 하면 될 일이고, 이미 또 문제 제기도 우리 당에서도 했다"며 "굳이 그렇게 당 대표가 그런 식의 반응을 보이면 (여론이) 별로 호의적이지 않을 것 같다. 언론이나 그걸 바라보는 국민 입장에서는 썩 그렇게 '잘했다'고 박수 받기는 어려울 거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정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의원도 같은날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검찰의 균형 잃은 처사에 대한 지적일 수 있고 너무 편파적이라는 것을 에둘러서 지적을 하는 것 같은데, 저는 당 대표가 하실 수 있는 그런 발언이나 행위가 아니라고 본다"고 같은 취지의 지적을 했다.
최 전 수석은 "국민들 기준에서 민주당의 돈봉투 문제나 이런 것을 기자들이 질문하면 그것에 맞는 얘기를 해야지, 타 당을 끌어들여서 그렇게 하는 것은 당 대표가 하실 수 있는 좋은 방법은 저는 아니라고 본다"고 부연했다.
자라다
피망머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