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돈을 준비해 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호씨 언니가 내 흉을 본 거야. 나는 굶었는데 말이야. 대학생이 무슨 돈이 있다고 사람들에게 고깃값을 낼 수 있겠어? 평소에도 엄마한테 일주일에 2만 원 겨우 받는데
그때 어찌나 짜증이 나던지. 건강한 사람들을 위한 문구이지 아픈 사람들을 위한 문구가 아니지 않은가? 한국 사회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너무 지나치게 건강한 사람들만을 위한 문화를 버려야 하는데
저 멀리 낯읽은 남자가 보였다.
어쩐지 나를 쳐다보고 있는 느낌이라 피하지 않고 바라보고 있었는데
갑자기 그가 일어섰다
‘설마.. 나한테 오는건 아니겠지’
라는 내 생각과 다르게 저벅저벅 당당한 걸음으로 내 앞으로 다가왔다
“그 때 그분이시죠?”
“네?”
“그때 저한테 걱정인형 주신분이요”
“....? 아뇨? 사람 잘 못 본 것 같습니...”
하는데 그가 들고 있는 핸드폰에 걸려 있는 키링이 낯익었다.
‘어라... 이거 내가 가지고 있던거랑 비슷한데..아닌데? 똑같은데?’
하고 놀란 눈으로 내 앞에 서있는 남자를 쳐다봤다.
어라? 내가 아는 사람이 아닌데?
“감사했습니다. 그때는” 하고 정중하게 내게 감사 인사를 했다
“혹시 괜찮으시면 잠깐 앉아도 될까요?” 하고 묻고는 앉았다
“대답 안했는데 앉으시네요?” 바라보자
“앉으라고 하실거 같아서요”하고 나를 향해 활짝 웃었다.
얼마만에 본 환한 미소인지
조용한 자리에 원우와
결국 저는 갈 곳이 없습니다. 아니면 다른 집으로 입양을 가는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아버지는 잔소리를 자주 하셨지만
생년월일
돈이 없어 더 좋은 약을 쓸 수 있는 환자인데도 참여하는 환자들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자네는 영웅이 되고 싶은가?“
”네?“
”자네는 그저 인간이고
옛날에는 그 정도를 학대로 보지 않았던 시절도 있었잖아요.
겨우 딱 한 번 다섯 대의 매를 맞은 게 전부인데
그것 조차도 불과 한 학년 간일 뿐이었다. 그리고
의사일만 10년 넘게 한 내가 할말은 아닌거 같았다. 뭐라고 적지 하고 고민하는데
“너 그만두게?!”
“아! 깜...짝이야
멋진 그림이네요. 유화로 그렸나 봐요? 천재 화가신가?” 어느 신사가 말했다.
“아니요. 수채화예요. 불투명 수채화예요.” 최사라가 말했다.
프랑스어를 못하는 박민지를 위해서 최사라 언니가 통역해 주었다. 그리고 화가는 박민지 씨라고 말해 줬다. 사람들은 박민지 씨가 마치 유명한 화가라도 되는 것같이 생각했다. 그림이 정말 좋다고 말했다. 그림을 사겠다는 사람들이 세 명이나 나타나서 가격을 정하는 바람에 가격이 올라갔다. 그래서 그 그림은 어느 30대로 보이는 청년이 사갔다. 250만 원으로 팔았다. 그리고 그냥 드릴 수 없어서 사진도 찍고 영수증도 주었다. 박민지는 그림을 팔아서 기분이 좋았다.
“신기하다. 나 그림을 저렇게 비싼 가격으로 팔아 보긴 처음이야. 한국에서 저작권 등록을 해놓았기 때문에 다행이다. 해외도 해야 되나?”
“해외도 저작권 등록해야 하는 지는 잘 모르겠어. 알아봐야지.” 최사라가 말했다.
“그 그림은 책 표지 디자인이잖아. 나름 유명한 그림이긴 해. 책이 잘 팔려서 저작권 등록을 한국에다가 해 놓았지. 설마 저 사람이 그 책 표지 디자인인 것을 알긴 하는 건지 모르겠다.” 박민지가 말했다.
민지가 쓴 소설이 잘 팔렸던 것은 사실이고 책 표지 디자인을 민지가 그린 것도 사실이긴 한데
개인적인 일로 병원에 얽매여야 했고 그러다 보니 어쩌다 나는 쉬는 시간에는 정말로 휴식을 위한 시간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운동이나 취미는 말할 것도 없고
민지는 백수라서 돈도 없고 엄마에게 용돈을 받아서 사는 처지라서 21명이나 되는 사람들의 고깃값의 절반을 내 줄 수 있는 형편이 되지 않았던 것이다. 게다가 호씨는 직장인으로 당시 26살이지만
효과가 불분명한데다가 외국 논문에 의하면 그 부작용도 무시할 수 없었다. 아직 비교적 어린 의사인 나로써는 도저히 내가 먼저 권유하고 싶지 않은 약이었다.
더 이상 생각하고 싶지않아 커피를 벌컥벌컥 마시는데 저 멀리서 과장님이 보였다.
”저 먼저 갑니다“하고 그 누구보다도 재빠르게 뒷문을 향해 걸어갔다.
자 당분간의 목표는 과장님에 눈에 띄지 않는 것이다. 아자아자.
띠 띠띠 띠띠띠 띠- 삐리릭
현관문을 열고 신발을 벗고 터벅터벅 걸어가 쇼파에 쓰러졌다.
‘피곤한 하루였다’ 하고 엎드린 상태로 고개를 돌려 낮은 탁자위의 사진을 바라보았다.
어두운 밤하늘에 유난히 밝은 달빛이 창을 통해 방안을 비추었다.
달빛으로 비춰진 그 사진에는 맑은 물과
보고싶었다고”
원래 크던 그 아이의 눈동자가 조금 더 커졌다. 조금 흔들리는 것도 같았다.
“근데